삼표는 사람 ∙ 사회 ∙ 환경을 생각합니다지속가능한 미래 세상의 기초를 꿈꿉니다
삼표위키: 시멘트 #6 Q 시멘트의 입자 크기는 어느정도인가요? 일반적으로 시멘트 입자의 크기는 0.3~90㎛까지 다양한데요. 보통은 15~30㎛ 이하로 만들어집니다. 이는 1㎛가 0.001mm인 것을 감안할 때 쉽게 상상하기 힘든 크기인데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A4 용지의 두께가 90㎛, 주방에서 사용하는 랩이 10~15㎛…
2023-11-16
삼표위키: 콘크리트 #7 Q 슈퍼콘크리트는 무엇인가요?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5배 이상의 압축강도와 4배 이상 긴 200년 가량의 내구수명을 가진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콘크리트를 만들 때 특수 나노물질을 섞어 공극(빈 공간)을 최소화하고, 강섬유로 인장력을 강화했기 때문에 일반콘크리트보다 얇지만 더 단단합니다. 공사비는…
2023-10-31
삼표위키: 콘크리트 #6 Q 동그란 콘크리트 말뚝, PHC 파일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PHC 파일은 원심력을 응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콘크리트 파일에 강한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의 약점인 벤딩(Bending)이나 인장력을 보완하는…
2023-09-21
삼표위키: 환경자원 #3 Q 고장나거나 버려진 가전 제품은 어떻게 처리 될까요? 폐전자제품에는 철, 구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자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전제품 회사, 폐기물처리업체, 지역자치단체 등에서 수거한 후, 사용 가능한 자원을 해체 및 분류해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냉장고, 세탁기,…
2023-08-29
삼표위키: 철도 #2 Q 자갈이 깔린 철길과 콘크리트가 깔린 철길은 뭐가 다른가요? 기찻길에 깔린 자갈, 콘크리트 두 가지 모두는 재료가 다르지만, 똑같이 레일을 받쳐주며 안전한 운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저렴하고 보수하기 쉬운 자갈이 맨 처음 사용되었으며, 콘크리트…
2023-08-10
삼표위키: 레미콘 #4 Q ‘㎫’는 어떻게 읽을까요? 엠피에이? 엠파? ‘㎫’는 ‘메가파스칼’이라고 읽습니다. 원래 메가파스칼은 ‘파스칼(기호 Pa)’ 보다 1,000,000배 큰 단위를 뜻하는 말입니다. 파스칼은 프랑스의 수학자 ‘블래즈 파스칼(Blaise Pascal)’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1파스칼은 1제곱미터당 1뉴턴의 힘이 작용할 때의…
2023-07-13
삼표위키: 몰탈 #2 Q 몰탈과 같은듯 다른 '그라우트(grout)'는 무엇인가요? 그라우트(grout)는 ‘틈새를 채우거나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건축재료 중 하나입니다. 시멘트, 모래, 첨가제 등으로 만드는 몰탈과 재료는 유사하지만, 속성과 용도는 일부 다릅니다. 그라우트의 경우 몰탈의 기본…
2023-04-18
삼표위키: 환경자원 #2 Q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모두 어디로 가나요?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재활용, 매립, 소각의 과정을 거쳐 처리됩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소각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은 물론, 다양한 산업활동을 통해서도 쓰레기, 즉 폐기물은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그럼,…
2023-03-23
삼표위키: 시멘트 #5 Q 혼합 시멘트란 무엇인가요? 혼합 시멘트란 포틀랜드 시멘트의 클링커에 적절한 혼합재를 섞어서 만든 시멘트를 말합니다. 혼합되는 주재료가 무엇이냐에 따라 고로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 애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등으로 나뉘는데요. 주로 내구성과 내수성, 수밀성, 장기 강도…
2023-03-02
삼표위키: 골재 #2 Q 산과 석산은 다른가요? 산과 석산은 다릅니다. 석산(石山)은 말 그대로 돌산입니다. 지형의 70%가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산을 살펴보면 울퉁불퉁한 돌산과 완만한 산줄기의 흙산(土山)으로 구분됩니다. 돌산은 지표면이 점차 깎이는 침식 작용으로 땅 속 깊이 있던…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