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지속가능한 미래

지금 우리에게 바다숲이 필요한 이유

2023-05-09

지금 우리에게 바다숲이 필요한 이유

4월 5일 식목일에 우리가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결국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이유는 숲과 나무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우리가 숨쉬며 살아가기 위한 산소를 생성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의 약 75%가 생산되는 곳이 육지의 숲이 아닌 미역이나 다시마, 감태, 잘피 등과 같은 해조류 및 해초류로 이루어진 바다숲이라는 사실, 혹시 알고 계셨나요? 어쩌면 바다숲이 지구에게 던져진 가장 큰 숙제, 탄소 중립을 해결할 가장 강력한 열쇠가 될 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몰랐던 바다숲의 놀라운 능력  

바다숲은 해양 생물들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바다 생태계의 근간입니다. 연안의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다양한 수산 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각종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 정화와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바이오 에탄올 등 청정바이오 에너지의 원료가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바다숲이 200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사라져가고 있습니다. 이는 해양오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해 바닷속에 녹아있는 탄산칼슘(석회가루)이 석출되어 해저 생물이나 해저 바닥, 바위 등에 하얗게 달라붙는 갯녹음 현상 때문입니다. 

 

<바다숲의 6대 기능> 출처: 한국수산자원공단

갯녹음이 발생해 바닥에 달라붙기 시작한 탄산칼슘은 바다 전체를 알칼리성으로 바꿔버리고, 결국 산호나 해조류 등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을 만듭니다.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는 마치 사막처럼 황폐화되고, 더 이상 탄소를 흡수하는 저장고 역할도, 산소를 만들어내는 생산자 역할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온난화의 가속화와 해양 생태계 붕괴라는 무서운 결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금 우리나라 전역의 바다숲에는 갯녹음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2019년 한국수산자원공단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동해안의 51%, 제주도의 35%, 남해안의 13%에서 이미 갯녹음화가 진행되어 많은 양의 해조류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사라진 세 곳의 바다숲을 모두 합하면 총 1만2천730ha 정도인데요. 이는 여의도 면적과 비교해도 44배나 큰 엄청난 규모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바다숲의 황폐화는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세계 최대 규모의 산호초 군락지, 호주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역시 갯녹음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2022년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 해양공원청 보고서에 따르면 90% 이상의 산호초가 이미 피해를 입은 상태라고 합니다. 일본도 큐슈 남부 해역에서부터 북해도까지 전 해안에 걸쳐 갯녹음 현상으로 인한 바다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세계 최초로 지정된 5월 10일 바다식목일

2012년 우리나라는 해안 생태계의 중요성과 심각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사라지는 바다숲을 복원하기 위해 매년 5월 10일을 ‘바닷속에 해조류를 심는 날’ 즉, 바다식목일로 지정했습니다. 대규모 바다숲 조성을 위해 바다식목일을 별도로 만들고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것은 세계 최초의 일이었습니다. 해마다 5~6월 무렵이 되면 해양수산부는 감태, 곰피, 잘피, 모자반 등을 심어 바다숲을 조성하고, 이렇게 이식한 해조류가 안정적으로 잘 자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1년까지 약 2만6천6백여ha의 바다숲을 새롭게 조성하는 성과를 가져왔고, 2030년까지 총 5만4천여ha 규모의 바다숲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바다숲 사업 성과: 연안 생태계 건강성 증가 현황> 출처: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사실 바다숲이 자리한 연안 해역은 전 세계 바다 면적의 0.6%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탄소흡수율은 열대 우림과 비교해 약 5배 가량 높고, 1ha당 연간 3~16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2년 미국국립과학원(PNAS) 회보를 통해 발표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Max Planck Institute)의 연구 분석 결과에서도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가 연간 약 5억5000만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한 해 동안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지난 4월에는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는 6가지 해조류가 창출하는 경제 가치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는데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에런 에거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를 통해 밝힌 바에 의하면, 어업 생산과 영양소 순환, 대기 중 탄소 제거 등의 3가지 작용을 통해 경제와 생태계에 기여하는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5천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가지 해조류가 1ha당 매년 6만4천4백 달러에서 많게는 14만7천1백 달러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의미로,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해조류의 잠재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실감할 수 있는 연구 결과입니다.

 

아마존의 해조류 양식장 건설 프로젝트

최근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은 북해에 위치한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해조류 양식장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비영리 단체인 ‘노스 씨 파머스(North Sea Farmers(NSF))’가 이끄는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해상 풍력발전을 위해 설치된 터빈 사이의 공간이 대부분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조류 양식장을 만들어 탄소를 포집,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아마존은 1억 달러(약 1301억 원) 규모로 운영되는 자사의 ‘바로 지금 기후 펀드(Right Now Climate Fund)’를 통해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가장 먼저 150만 유로(약 21억 원)를 지원해 네덜란드 연안에 10ha 규모의 해조류 양식장 ‘노스 씨 팜 1(North Sea Farm 1)’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조성된 해조류 양식장이 향후 터빈 사이의 모든 공간을 점유하게 되면 2040년까지 약 100만ha로 규모가 확장될 것이고, 이는 연간 수백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른 바다숲

그동안 해조류는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양식과 소비가 모두 이뤄져 왔습니다. UN 식량농업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해조류의 97.38%가 아시아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56.82%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인도네시아(27.81%)와 대한민국(5.09%)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유럽과 미국 등에서도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식량 안보 등의 문제로 해조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관련 산업이나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전남 완도군과 해남군 일대를 지구관측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며 우리나라의 해조류 양식과 섭취 문화에 주목한 바 있는데요. 이는 해조류가 미래 식량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식재료일 뿐만 아니라 해양 및 연안 생태계에서 흡수 또는 저장하는 탄소를 의미하는 ‘블루 카본(Blue Carbon)’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이보다 앞서 2019년 유럽연합(EU)은 해양 바이오 경제포럼에서 해조류 산업 촉진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며 해조류 연관산업 지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2022년에는 유럽 내 해조류 양식 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23개의 실행계획을 담은 ‘지속가능한 EU 해조류산업 촉진 통신문’을 채택하고 현재 시행 중에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3위의 해조류 생산국이자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법제화한 14번째 국가입니다. 이에 앞으로 해조류 양식이나 바다숲 조성이 꼭 필요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제배 기술이나 지식을 전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 2월 호주에서 열린 국제 해조류 심포지엄(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에 참석한 한국수산자원공단은 ‘전 세계의 바다숲 복원 노력(Global Kelp forest restoration efforts)’ 세션에 참석해 우리나라의 바다숲 복원 기술과 성과를 전파하고, 호주의 바다숲 조성 후보지를 공동 점검하며 노하우를 공유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국내외 수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맹그로브, 염습지, 해초지에 이어 바다숲이 네 번째 블루 카본으로서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이나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 당당히 국제적 인증을 받게 될 날이 머지 않아 보입니다. 이미 현실로 다가온 기후변화의 위기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할 가장 강력하고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른 바다숲. 우리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바다숲의 존재를 기억하고 보존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5월10일, 바다숲, 바다식목일, 탄소중립